이제 우리말로 사용해요 썸네일형 리스트형 뽀록나다... 이제 우리말로 사용해요 뽀록나다... 이제 우리말로 사용해요 숨기던 사실등이 밝혀졌을 때 흔히 '뽀록나다' 라는 표현을 합니다. 이 드러나다를 속되게 표현한 말이 '뽀록' 입니다. 일본어 보로에서 온 말이라도 하네요. 보로는 넝마, 누더기 의미인데 파생적으로는 허술한, 결점 이란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고 합니다. 뽀록... 일본어와 관련 있고 왠지 질 낮은 느낌이 듭니다. 우리말 '드러나다', '들통나다' 로 사용하면 되겠습니다. 더보기 함바식당...이제 우리말로 사용해요 함바식당...이제 우리말로 사용해요 식사를 할 수 있는 식당들 중에 공사현장의 일하는 분들을 대상으로 운영되는 식당이 있습니다. 흔히 함바, 함바집, 함바식당이라고 합니다. 함바는 일본어에서 온 말입니다. 토목공사나 광산 등의 현장에 있는 합숙고를 말합니다. 우리말로 바꾸어서 '현장식당' 이라고 쓰도록 되어 있습니다. 함바식당X. 이제는 현장식당 입니다. 더보기 나사, 소데나시 이제 우리말로 해요 나시, 소데나시 이제 우리말로 해요 나시, 소데나시 소데나시를 줄인 말이 나시라고 하네요. 이게 일본말이란 건 모두 알고 있습니다. 너무 많이 들리고 나도 모르게 사용하는 나시.... '민소매'라고 우리말이 있습니다. 신경쓰고 사용하면 우리 모두 '민소매' 라고 할겁니다. 더보기 한강 '고수부지' 말고 '둔치'로 사용해요 한강 '고수부지' 말고 '둔치'로 사용해요 고수부지는 큰물이 날 때만 물이 잠기는 하천 언저리의 터를 말합니다. 이 단어가 일본식 한자어라고 합니다. 그래서, 우리말 '둔치'로 바꿔서 부르면 됩니다. -한강 둔치에서 여유로운 시간을.... 더보기 '마이' 이제 우리말로 해요 '마이' 이제 우리말로 해요 남자 마이, 여자 마이 정장의 상의. 우리가 아는 재킷을 일본어에서 마이라고 부르는데 재킷, 정장상의 이렇게 부르거나 우리말 웃옷 이렇게 부르면 더욱 좋겠습니다. 마이 X 웃옷 O 더보기 리포트, 레포트의 우리말은... 리포트, 레포트의 우리말은... 조사나 연구, 실험 따위의 결과에 관한 글이나 문서 학생이 교수님께 제출하는 소논문 리포트라고 합니다. 우리말로는 '보고서'라고 합니다. 드라마등에서 보고서라고 말이 많이 나오기는 하지만 실생활에서는 그렇지는 않죠 많이 사용하여 습관화해야겠습니다. 더보기 '만땅' 아직도 사용하나요... '만땅' 아짇고 사용하나요... 일본에서 들어온 말. 만땅 특히, 주유소에서 가득 채운다는 말로 만땅을 크게 외치는 분들이 있죠. 이제는 우리말로 사용해요 '가득' 이라는 유치원, 초등학생도 아는 우리말이 있습니다. '만땅' 아니요... '가득' 입니다. 더보기 식당의 '지리' 라는 단어. 식당의 '지리' 라는 단어 흔히. 복지리탕... 지리 일본말입니다. 싱건탕으로 순화하고 있지만. 우리말로 복국, 복맑은탕 이렇게 좋은 말로 사용하는 게 좋을거 같습니다. 지리는 우리말로는 지형, 길등을 표현할 때 사용하죠. 대한민국 = 호랑이 일본에게 강력하게 우리 힘을 강력하게 보여줍시다.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