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미, 동그랑땡, 반상, 하룻강아지, 소쿠리, 계축일기, 붓
기미, 동그랑땡, 반상, 하룻강아지, 소쿠리, 계축일기, 붓 기미 어떤 일을 알아차릴 수 있는 눈치. 또는 일이 되어 가는 야릇한 분위기 낌새, 조짐' 등의 뜻을 지니는 '기미'는 한자어 '幾微/機微'에 그 어원을 두고 있습니다. 일본어의 '気味(きみ)'는 '느낌, 기분, 기운, 경향' 등의 뜻으로, 감정과 관련된 말로 쓰이지만, 우리말의 '기미'는 이와는 다소 거리가 있습니다. 동그랑땡 우린 그냥 전으로 알고 있는 동그랑땡은 돈저냐를 속되게 말하는 것입니다. 돈저냐란 쇠고기나 생선·패류 등의 살과 두부·호박·풋고추·파 등의 채소를 잘게 다져 섞고 주물러 엽전 크기로 동글납작하게 만든 뒤, 밀가루를 묻히고 달걀을 씌워서 기름을 두른 번철에 지진 저냐(전)을 이르며, 그 모양이 돈같다 하여 돈저냐라 부르게..
더보기
가슴츠레, 거슴츠레, 게슴츠레 / 구시렁거리다, 궁시렁거리다
가슴츠레, 거슴츠레, 게슴츠레 / 구시렁거리다, 궁시렁거리다 가슴츠레, 거슴츠레, 게슴츠레 맞는 것은? 졸리거나 술에 취해서 눈이 흐리멍덩하며 거의 감길 듯한 모양 가슴츠레, 거슴츠레, 게슴츠레 셋사. 부사로써 같은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구시렁거리다, 궁시렁거리다 맞는 것은.. 못마땅하여 군소리를 듣기 싫도록 자꾸 하는 것을 '구시렁 거리다' 입니다. 궁시렁거리다는 강원도 방언입니다. 남사스럽다, 남세스럽다 바르게 쓰려면 '남사스럽다' 남에게 놀림과 비웃음을 받을 듯하다 '남세스럽다' 남에게 놀림과 비웃음을 받을 듯하다 남사스럽다와 남세스럽다 둘다 쓸수 있습니다.
더보기